본문 바로가기

건강 ,상식

[스크랩] 한약재 복용법과 금기 사항

한약재 복용법과 금기사항(주의사항) 입니다.

 

한약재에 대한 최대한의 효과를 보시려면 금기사항은 꼭 지키시기 바랍니다.

 



약재를 복용하여 제대로 효과를 보려면 용법에 맞도록 올바로 복용하여야 한다.

처방되는 약재에 따라 특별하게 주의를 해야하는 경우가 많겠지만 일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복약 시간

동의 문현에 병이 가슴 위에 있을 때에는 식후에 약을 먹고 병이 복부 이하에 있을 때에는 이른 아침 공복에 먹고 병이 골수(병이 깊으면서 오랜 것)에 있을 때에는 식사 후 밤에 먹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보하는 약들은 식전에 먹으며 상충약과 사하약은 공복시에 먹고 기타는 대체로 식후에 먹는 것이 좋다.
병에 따라 약 먹는 시간을 따로 정할 때도 있다.
학질은 발작하기 몇 시간 전에 약을 먹는다.
그러나 급한 병에는 정한 시간이 없다.


 먹는 법

일반적으로 하루 2~3번 먹는다.
탕제는 대부분 덥게 하면서 먹는데, 특수한 경우에는 차게 먹는다.
예를 들면 진한 가열증에 열약을 받지 않을 때 또는 성질이 몹시 더운 약은 차게 먹는다.
구토할 때에는 조금씩 여러 번 먹는다.




약재를 복용하면서 지켜야 할 금기사항에는 배합금기, 음식금기.임신부금기 등이 있다.
이들 금기사항을 지켜 복용하지 않으면 약효를 제대로 볼 수 없을 뿐 아니라 때로는 크게 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기본적인 금기사항은 반드시 유념하도록 한다.

 임신 중 금기약

임신 중에는 특히 약물 금기에 주의하여야 하는데, 어떤 약은 유산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약 중에도 임부와 태아에 대한 위험성이 같지 않으므로 절대적으로 쓰지 못하는 것과 삼가 쓰는 경우가 있다.
쓰지 못하는 약은 대다수가 독성이 비교적 강하거나 약성이 맹렬한 것 들이며, 삼가 쓰는 약은 통경작용과 어혈을 제거하며 행기파체(行氣破滯)하거나 신열(辛熱), 활리(滑利)하는 약들이다.
특히 아래의 약재들은 임산부들이 금해야 할 대표적인 약재들로 독성이 세거나 설사작용이 강한 약, 혹은 자궁수축 작용이 강한 약들이다.

 식물성 금기약 ; 오두, 부자, 천남성, 끼무릇, 파두, 팥꽃나무꽃, 박새뿌리, 버들옻, 쇠무릎풀, 주염나무열매, 나팔꽃씨, 후박, 복숭아씨, 모란뿌리껍질, 매자기, 잇꽃, 용뇌, 아욱씨, 봉출, 마늘 등

 광물성 금기약 ; 신석, 석웅황, 자황, 수은, 망초,유황 등

 동물성 금기약 ; 가뢰, 지네, 우황, 사향 등


 복용 중 금해야 할 음식

복약하는 기간에는 음식물의 성미가 약성과 상반되면 해가 되므로 이를 금하는 것을 복약금기라 한다.
예를 들면 온중거한하는 약을 쓸 때에는 생것과 찬 것을 먹지 말 것이며 비위를 건전하게 하며 소화를 돕는 약을 먹을 때에는 지방류와 비린 것 등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하며 진정제를 쓸 때에는 자극성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
또 박하에는 자라고기를 먹지 말며, 복령에는 초를 먹지 말고, 닭고기에는 황납을 먹지 말고, 청밀에는 파를 먹지 말라고 하였다.
또한 삽주, 흰삽주를 쓸 때 복숭아, 참새고기, 고수, 마늘등은 금기이며, 산련풀, 도라지를 쓸 때 돼지고기를 먹지말며, 끼무릇, 창포를 쓸 때 엿, 양고기를 먹지 말라고 언급되어 있다.
이렇게 지적되어 있는 것 외에 일반적으로 금해야할 음식들의 성미는 다음과 같다.

 소화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음식 또는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 ; 날음식, 선과실, 굳은 음식, 덜 익은 음식 등

 설사를 일으킬 수 있는 음식, 그 밖의 기름기가 많은음식 ; 돼지 비계 등...

 자극이 강한 음식 ; 고추, 마늘, 겨자, 생강 등...


 배합금기

두 가지 이상의 약재를 서로 배합하면 약재의 독성이 강해지거나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금하고 있는데, <의방유취> <동의보감> <방약합편> <의종손익> 등 옛 책에 언급된 배합을 금하는 약재 중 대표적인 것을 들면 다음과 같다.

 독성이 강해지는 배합금기약
- 끼무릇, 하눌타리열매, 패모, 백급 ↔ 오두,
- 듬북, 버들옻, 팥꽃나무꽃, 감수 ↔ 감초,
- 함박꽃, 단삼, 인삼, 너삼, 현삼, 더덕, 족두리풀 뿌리 ↔ 박새뿌리
- 오두 ↔ 가위톱, 무소뿔
- 석결명 ↔ 운모
- 유황, 삼릉 ↔ 망초
- 인삼 ↔ 오령지
- 수은 ↔ 비상
- 파두 ↔ 나팔꽃씨
- 정향 ↔ 울금
- 육계 ↔ 적석지
- 박새뿌리 ↔ 술
- 파, 부추 ↔ 꿀

 약성이 약해지는 배합금기약
- 오독도기 ↔ 밀타승
- 솔뿌리혹 ↔ 식초
- 고슴도치껍질 ↔ 도라지 맥문동
- 생강 ↔ 속썩은풀
출처 : 신비한 약초 세상
글쓴이 : 이성호(겨우살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