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히 정답은 없겠지만 저는 이렇게 한다는걸 알려드립니다
ㄷㄷㄷㄷ
솔직히 별거 없습니다.. 대충 귀신 나올만한곳에 가서 대충 찍으면 되는거...
1. 은하수가 뜨는 시기 파악
- 은하수 찍는 최적의 시기는 달이 그믐이고, 구름이 없고, 미먼 적고, 날씨가 맑은날 입니다
그외 달이 초승달 이나 반달이라도 달이 지는 시간때에는 찍을수 있습니다.
달 주기 , 월령 추천 어플 : moon pro, 달의 위상
스크린샷은 moon pro 입니다(무료)
보면 오늘 기준으로 달이 오전 7시44분에 떠서 저녁 9시 26분에 진다고 나옵니다
즉, 본격적으로 별, 은하수를 찍는 시간은 9시 26분 이후라고 볼수 있습니다
대게 일몰 후 2시간 지나면 본격적으로 어둠이 시작되기 때문에 9시 26분 부터 다음날 일출 1시간전 까지 찍을수 있습니다
즉, 밤부터 아침 새벽까지 별, 은하수를 찍을수 있기에 가장 좋은 시기 입니다
그리고 월별로 보면 일자별로 달의 크기를 파악하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찍을수 있는 시기를 가름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8월 기준으로 1일~ 7~8일 정도 되겠네요..
8월 10일정도에도 찍을수 있지만
달이 오후 3시36분에 떠서 새벽 12시57분이 집니다.. 촬영 가능한 시간은 새벽 1시부터 아침 일출 1시간전인 4시30분 까지 약 3시간 30분 정도 입니다
못찍는건 아니지만 많이 찍을수는 없죠
2. 날씨 정보 파악하기
자, 그럼 달이 없는 시기를 파악 했으면 그 시기에 날씨를 봐야죠. 구름이 많거나 미먼이 많으면 촬영이 힘들겠죠
날씨 추천어플: Acuu Weather, Windy, 케이웨더날씨, 기상청 홈페이지
촬영 1~2일 전에 구름, 미먼을 파악합니다. 강원도 태백 기준으로 일요일은 흐림으로 나오네요.
그외 윈디나 기상청홈페이지 통해 구름이 이동방향을 계속 파악 해야 합니다. 이건 출발 하기전까지 계속 파악합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날씨에 대한 확신이 들면 출발합니다
3. 은하수, 별자리 파악하기
은하수는 은하수의 경우 7월 남쪽 기준으로 동쪽 방향 에서 뜨기 시작하고, 7월 이후 남쪽가까이서 뜨기 시작.
그래서 3월, 4월 이럴때는 동해안 이나 일출 방향에서도 은하수를 볼수 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가고자 하는 곳의 위치에서 어떤방향에서 은하수가 뜨고, 몇시에 가야 은하수를 찍을수 있을지 파악합니다
실제로 3~4월에 찍는 위치랑 6~7월에 찍는 위치가 다릅니다
역시 어플로 파악합니다
추천 어플 : sky guide(유료), Star Walk2
어플을 보면 시간대별로 은하수, 별자리가 어떻게 이동하는지 파악 할수 있고, 동서남북 어디에서 뜨고 지는지를 파악 할수 있습니다
보시면 남쪽과 남서쪽 사이에 은하수가 크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만약 내가 가는 곳이 동쪽가까이 있으면 은하수를 찍을수 없겠죠
그래서 처음가는 곳이라면 지도를 통해 어느 방향인지 대략 파악을 하고 갑니다
그리고 현장에 가서도 어플의 ar기능을 통해 다시 한번 은하수를 파악합니다
대략 이정도만 해도 대략적인 사전준비는 끝났습니다
4. 촬영 장비 및 준비물
미러니스, dslr 상관없습니다
렌즈는 최대한 광각을 가지고 가세요. 24미리, 16미리, 11미리 등 가능하면 최대 광각으로 가져가는게 좋습니다
삼각대는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릴리즈 : 장노출이니 릴리즈로 찍어야 흔들림을 방지 합니다. 물론 카메라에 2초후 찍는 모드가 있지만 이게 엄청 불편합니다
릴리즈는 꼭 필요합니다
핫팩, 열선도 반드시 준비하세요. 보통 새벽이 되면 밤이슬이 올라 옵니다 나중에 새벽이 되면 렌즈에 습기가 찹니다
그래서 핫팩으로 렌즈를 둘러싸고, 천으로 다시 둘러쌉니다
아니면 보조배터리에 연결하는 열선도 판매 하니 알리 같은곳 검색해서 준비하면 좋습니다
이건 별, 은하수 찍을때 꼭 필요한겁니다
개퍼 테잎도 준비하세요. 핫팩 고정하거나 렌즈 초점링 고정할때 필요합니다
5. 촬영 방법
모두 수동 모드 입니다. 조리개, 셔속, ISO, 초점
렌즈는 가능하면 광각, 그리고 밝은 렌즈가 좋겠죠
16미리, 20미리, 15미리 , 어안 등 최대한 가지고 계시는 광각 렌즈로 활용.
그리고 렌즈 화각에 따라 별이 흐르지 않는 최대 셔터속도를 계산해서 노출을 정하시면 됩니다
400rul 이라고 400 나누기 렌즈 화각을 하면 됩니다
즉, 16미리 화각이면 400/16 하면 26.262626 이니깐 최대 26초를 넘기지 않으면 됩니다
이걸로 조리개, iso를 조정 하시면 됩니다
조리개는 가능하면 최대 개방 보다는 한스텝 쪼이는게 좋습니다. 아무래도 대부분의 렌즈들이 최대개방시에 비네팅이나 주변부화질저하 등등
여러문제들이 발생하니..
저 같은 경우 11미리 f4 값으로 찍기도 합니다
그리고 주경이나 일반적인 촬영에서는 좀 어둡게 찍어도 암부 살려도 크게 문제 없지만
새벽 아무것도 잘 안보이는 곳을 찍을때는 가능하면 좀 밝게 찍는게 좋습니다
어둡게 찍어서 후보정에서 암부 살리는 노이즈 가 처음부터 찍을때 iso 높게 설정해서 나오는 노이즈 보다 더 지저분한 노이즈가 발생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컬러노이즈도 생깁니다
초점의 경우 미리 테스트샷을 찍어보세요
별 중에 밝게 빛나는 별을 수동으로 맞춰서 찍고 확인해서 찍습니다
iso 높여서 찍은다음 초점이 맞는지 안맞는지 확인 후 본격적으로 촬영을 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미리 밝을때 가서 세팅한 다음 멀리 있는 원거리에 포커스 맞춘다음 개퍼테잎으로 초점링을 고정한 다음 밤에 찍으셔도 됩니다
캐논 16-35의 경우 최대 망원 옆에 빨간선 L 에 맞추면 거의 원거리 포커싱이 맞습니다.
본인의 렌즈에 따라 원거리 포커싱을 맞추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 잘못하다가 포커스 맞춘다고 1시간 훌쩍 넘을 갈수 있습니다.
6. 은하수는 볼수 있는 추천 장소
- 유명한 곳은 태백산 , 설악산, 매봉산, 안반데기, 양평벗고개, 보은 원정리, 황매산, 덕유산, 지리산, 영양, 봉화 지역, 거제도 등등
굳이 등산 안해도 차로 갈수 있는 곳도 많습니다. 물론 이런곳은 사람들도 많겠죠?
- KakaoTalk_20190803_233846853.jpg [File Size:61.5KB/Download:0]
- KakaoTalk_20190803_233847303.jpg [File Size:53.9KB/Download:0]
- KakaoTalk_20190803_233847639.jpg [File Size:53.2KB/Download:0]
- KakaoTalk_20190803_233848586.jpg [File Size:99.5KB/Download:0]
- KakaoTalk_20190803_233849087.jpg [File Size:45.1KB/Download:0]
- 660A2491-1.jpg [File Size:1.05MB/Download:0]
- 660A3681-1.jpg [File Size:1.19MB/Download:0]
- 660A5810-1.jpg [File Size:1.48MB/Download:0]
- 660A8898-2.jpg [File Size:10.17MB/Download:0]
![]() |
'여유(모셔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 베스트 사진들(feat. 몽골 사진 작가 협회) (0) | 2020.01.01 |
---|---|
여수 (0) | 2019.11.12 |
http://www.mkasda.com/index.php?document_srl=25620&mid=s561&order_type=desc&listStyle=viewer (0) | 2019.04.03 |
매화 (0) | 2019.03.24 |
전북에 있는 맛집 (0) | 2019.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