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판소리,민요

[스크랩] 구음 시나위-안숙선님 지음(知音)中




♣구음 시나위-안숙선님 지음(知音)中♣


♣아름답고 소중한 우리문화♥정원기의 국악 아카데미♣

 

시나위

전라도·충청도·경기도 남부의 무속음악에서 유래된 가락의 하나. 연주악기는 향피리·대금·해금·장고로 편성되며 불협화음을 내는 듯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데 묘미가 있다. 시나위의 특성은 경기도·전라도 모두 판소리 또는 계면조가락과 비슷한 점을 들 수 있다. 장단은 거의 <살풀이장단>으로 이루어지며, 경기지방에서는 <도살풀이장단>, 전라도지방에서는 <살풀이>로 통한다. 도살풀이장단은 6박1각의 빠른 진양조로, 처음에는 느린 장단으로 시작되어 차츰 빠른 장단인 살풀이장단(4박)으로, 다음은 더욱 빠른 장단인 발버드레장단(몰이장단)으로 끝난다.

 

시나위 선율은 유동적이며 즉흥적이다. <시나위>의 어원에 대한 해설을 보면 양주동(梁柱東)은 외국음악인 당악(唐樂)에 대하여 향악(鄕樂)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였고, 이탁(李鐸)은 (詞腦;신라시대의 노래)에서 온 말이라고 하였다. 이혜구(李惠求)는 외래음악인 정악(正樂)에 대한 토속음악, 또는 당악에 대한 향악이라고 하였다.

출처 : 정원기의 국악 아카데미
글쓴이 : 세요고 원글보기
메모 :